부동산

용도지역-도시지역-주거지역

은오 2018. 9. 4. 16:59

[용도지역] 2탄.
도시지역이란? - 주거지역


오늘은 용도지역중에서 도시지역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도시지역 또한 주거,상업,공업,녹지지역 4가지로 나뉘어집니다.
너무 길어질 것 같아 도시지역을 세분화 하여 포스팅하도록 할게요.





도시지역이란?
: 인구와 산업이 밀집 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당해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 정비, 관리, 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을 말합니다.




도시지역은 다시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세분화 되는데요,
먼저 주거지역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주거 지역이란?
: 거주의 안녕과 생활 환경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으로 설정된 곳을 말합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용도지역에 따라 건폐율과 용적률이 다르다고 말씀드렸죠?
주거지역은 약간의 차이에 따라 일반주거지와 전용주거지, 준주거지로 
나누어 지는데요, 주거지의 종류별로 건폐율과 용적률이 달라집니다.






일반주거지역은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인데요,
주택을 중심으로 마트나 공원, 체육시설, 학교 등 
생활이 편리해질 수 있는 근린 생활 시설들이 함께
세워지는 지역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주거지는 다시 저층주택 중심의 제1종과 중층주택 중심의 제2종,
중고층주택 중심의 제3종으로 나누어집니다.

전용주거지역은 말 그대로 주거를 위한 주택 위주의 지역으로
단독주택 중심의 제1종, 공동주택(다세대,아파트) 중심의 제2종으로 나누어 집니다.

준주거지역주거 기능을 주로 갖되 상업적 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주거지역으로
전용주거지역과 일반 주거지역에 비해 상업적 성격이 가장 강합니다.




주거지역은 전용주거지역 < 일반주거지역 < 준주거지역 순으로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은데요,
투자 가치로 봤을때 전용주거지 보다는 일반주거지역이, 
일반주거지역 보다는 준주거 지역이 투자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같은 땅에 얼마나 넓고 높은 건물을 지을수 있느냐이기에
당연히 투자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겠죠?

또 주거만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지역보다는 준주거지역과 같이 상업 및 업무 시설이 
들어 올 수 있는 지역이 투자가치는 큽니다.

물론 투자 가치라는 것은 용도 지역만으로 판단할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주변의 개발 계획과 환경 등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