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지역] 3탄.
도시지역 -
상업지역.
오늘은 도시지역 중 상업 지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업지역이란?
: 상업 및 그 외 업무의 편익
증진을 위한 고밀 개발 지역을
말합니다.
상업지역은
건폐율과 용적률이 가장 높고 시세도 높게 평가되고 있는
지역으로
용도에 따라서 중심,일반,근린,유통 상업 지역으로 세분화됩니다.
1. 중심상업지역
중심상업지역은
도심과 부도심의
상업기능과 업무 기능의 확충을 위한 지역으로
초고층 빌딩들이 즐비한 곳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공시지가 1위로 발표된 명동 번화가가 있는데요,
이미 검증된 지역이라 투자 실패에 대한 염려는 없지만 워낙 높은 가격에
형성 되어 있어 부동산 매입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드는 지역입니다.
중심상업지역 안에서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은 건축할 수 없지만
다른 용도와 복합으로 건축하는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초고층 빌딩들이 즐비한 곳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공시지가 1위로 발표된 명동 번화가가 있는데요,
이미 검증된 지역이라 투자 실패에 대한 염려는 없지만 워낙 높은 가격에
형성 되어 있어 부동산 매입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드는 지역입니다.
중심상업지역 안에서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은 건축할 수 없지만
다른 용도와 복합으로 건축하는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2. 일반상업지역
일반상업지역은 보통 시,군,구,읍의 번화한 지역을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중심상업지역보다 한 단계 아래 수준의 상업지역입니다.
주상복합 건물 건축이 가능하고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및
위락시설 등도 가능합니다.
중심상업지역보다 한 단계 아래 수준의 상업지역입니다.
주상복합 건물 건축이 가능하고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및
위락시설 등도 가능합니다.
3. 근린상업지역
근린 상업 지역은 근린지역내에서 일용품 및 서비스 공급을 위한
지역입니다.
주거지역의 원활한 편익을 제공하기 위한 지역으로
보통 대단위 주거지역(아파트 밀집지역)과 거리가 가깝습니다.
따라서 주거기능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상업지역이지만 위락시설이 없는
지역이기도 합니다.(위락시설은 조례로 정할 경우 가능)
주거지역의 원활한 편익을 제공하기 위한 지역으로
보통 대단위 주거지역(아파트 밀집지역)과 거리가 가깝습니다.
따라서 주거기능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상업지역이지만 위락시설이 없는
지역이기도 합니다.(위락시설은 조례로 정할 경우 가능)
4. 유통상업지역
유통상업지역은 재래시장, 농수산물 유통시장 등과 같이
도시 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을 증진시키는 지역으로
노량진 수산시장이나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과 같은 곳을 말합니다.
도시 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을 증진시키는 지역으로
노량진 수산시장이나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과 같은 곳을 말합니다.
상업지역은
근린상업지역 < 유통상업지역 < 일반상업지역 < 중심상업지역
순으로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은데요,
앞서 포스팅한 주거지역과 비교했을때
일반주거지역 < 준주거지역 <
일반상업지역 < 중심상업지역 순으로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습니다.
이는 다양한 용도가 가능한 상업지역이 주거지역에 비해
지가가 높게 형성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도지역-도시지역-녹지지역 (0) | 2018.09.05 |
---|---|
토지 지목의 종류 (0) | 2018.09.05 |
용도지역-도시지역-공업지역 (0) | 2018.09.04 |
용도지역-도시지역-주거지역 (0) | 2018.09.04 |
용도지역이란(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0) | 201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