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 - 공업지역
용도지역에
대한 4번째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도시지역 중에서 공업지역에 대해
알아볼게요
공업지역이란?
: 공업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입니다.
공업지역은
주거지역과 혼재를
피하여 오염 피해 발생을 방지하고
공업생산의 능률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형지세, 풍향, 수자원 및 교통시설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지정되는 지역입니다.
공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업의 성격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전용공업지역, 일반공업지역, 준공업지역으로
세분합니다.
1. 전용공업지역
주로
중화학공업, 환경유해성공업, 공해성공업 등을 수용하기 위한
지역으로
창원공업단지, 울산중화학공업단지 등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용공업지역은 일반공업지역과 준공업지역에 비해 업종의 규제가 가장 적지만,
수도권인 경우 규제가 심하기 때문에 신규로 지정되는 곳이 적은데요,
때문에 수도권에 인접한 전용공업지역일수록 투자 가치가 높습니다.
실제로 임대수익률이 가장 높기도 합니다.
하지만 투자 가치가 높은 만큼 상대적으로 매입 비용이 비싸고
투자 비용이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전용공업지역에는 주거용 건축물의 허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단, 도시계획조례가 정할 경우 판매시설, 운수시설,의료시설과
기숙사의 건축은 가능합니다.
창원공업단지, 울산중화학공업단지 등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용공업지역은 일반공업지역과 준공업지역에 비해 업종의 규제가 가장 적지만,
수도권인 경우 규제가 심하기 때문에 신규로 지정되는 곳이 적은데요,
때문에 수도권에 인접한 전용공업지역일수록 투자 가치가 높습니다.
실제로 임대수익률이 가장 높기도 합니다.
하지만 투자 가치가 높은 만큼 상대적으로 매입 비용이 비싸고
투자 비용이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전용공업지역에는 주거용 건축물의 허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단, 도시계획조례가 정할 경우 판매시설, 운수시설,의료시설과
기숙사의 건축은 가능합니다.
2. 일반공업지역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주지 않는 공업 등을 수용하기 위한
지역으로
지방의 농공단지, 특화공업단지 등이 해당됩니다.
일반공업지역은 전용공업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주업체의 종류에
다소 제한이 있는 지역입니다.
일반공업지역에는 제1종 및 제2종 근린 생활 시설과 판매시설,운수시설,
공장, 창고시설 등의 건축이 가능하며,
도시계획조례가 정할 경우 단독주택 및 기숙사, 종교시설, 의료시설, 교육시설
등의 건축물 건축도 가능합니다.
지방의 농공단지, 특화공업단지 등이 해당됩니다.
일반공업지역은 전용공업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주업체의 종류에
다소 제한이 있는 지역입니다.
일반공업지역에는 제1종 및 제2종 근린 생활 시설과 판매시설,운수시설,
공장, 창고시설 등의 건축이 가능하며,
도시계획조례가 정할 경우 단독주택 및 기숙사, 종교시설, 의료시설, 교육시설
등의 건축물 건축도 가능합니다.
3. 준공업지역
경공업, 가내수공업 등을 수용하되 주거, 상업, 업무 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지역으로
규모가 작은 공단이나 오래전부터 자생적으로 동종업계 공장들이
들어서 있는 지역을 말합니다.
서울에는 영등포구를 비롯하여, 구로구, 금천구,성동구,도봉구,강서구,양천구
총 7개 자치구에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준공업지역 안에는 기숙사를 비롯하여 제1,2종 근린 생활 시설은 물론,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등이 가능하며, 도시계획조례에 따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의료시설,업무시설,
숙박시설, 공장 등의 건축물 건축이 가능합니다.
규모가 작은 공단이나 오래전부터 자생적으로 동종업계 공장들이
들어서 있는 지역을 말합니다.
서울에는 영등포구를 비롯하여, 구로구, 금천구,성동구,도봉구,강서구,양천구
총 7개 자치구에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준공업지역 안에는 기숙사를 비롯하여 제1,2종 근린 생활 시설은 물론,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등이 가능하며, 도시계획조례에 따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의료시설,업무시설,
숙박시설, 공장 등의 건축물 건축이 가능합니다.
전용공업지역은 수도권에 인접할수록 투자가치가 높고,
일반 공업지역의 경우에는 용도지역 변경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바라보고 투자 하기에
좋습니다.
준공업지역은
전용공업지역과 일반공업지역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투자가 가능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도지역-도시지역-녹지지역 (0) | 2018.09.05 |
---|---|
토지 지목의 종류 (0) | 2018.09.05 |
용도지역-도시지역-상업지역 (0) | 2018.09.04 |
용도지역-도시지역-주거지역 (0) | 2018.09.04 |
용도지역이란(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0) | 201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