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구체 여과율]
건강검진이나 종합검진을 받으면 알아듣기 어려운 여러가지 해석과 수치들이 난무하게 되는데요.
특히 신사구체여과율에 대해서 궁금했습니다. 알아보니 이것은 신장(콩팥)의 기능을 수치화한 지표인데요.
신장이 도대체 무슨일을 하는지, 그리고 수치를 분석하는 방법,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장(콩팥)의 구조]
신장은 적갈색의 콩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콩팥이라고 하는데요. 대략 성인 주먹 정도의 크기 입니다. 위치는 척추를 사이에 두고 등 쪽에 두 개가 서로 자리잡고 있고, 신장의 무게는 125~170g 정도로 약 100만개 정도의 네프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네프론은 혈액을 걸러내는 신장의 기능적 단위로서 사구체와 세뇨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사구체는 하루 약 180 리터의 혈액을 걸러내고 이중 99%가 우리 몸의 혈액으로 다시 흡수되며 나머지 1~2리터가 소변으로 배출되게 됩니다.
[신장(콩팥)이 우리몸에서 하는 일]
①노폐물 제거
음식을 먹고 소화과정을 통해 생긴 노폐물을 제거하는데요. 혈액은 끊임없이 신장을 지나면서 정화되고 여과된 노폐물은 소변을 통해 몸에서 배출 시킵니다.
②수분조절 기능
몸의 수분과 염분의 양을 조절하며, 혈액과 체액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몸이 약알칼리성(pH 7.4)을 유지하도록 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도 합니다.
③혈압 조절기능
신장은 혈압 조절에 필요한 성분을 분비하여 혈압을 조절하도록 합니다. 보통 신장이 나빠지게되면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④ 호르몬 기능
적혈구를 골수에서 만들도록 자극하는 조혈 호르몬인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분비하여 빈혈을 예방하도록 하는데요. 뼈를 튼튼하게 하는 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서 인체의 칼슘 섭취와 작용에 영향을 끼칩니다.
신장이 하는 일은 우리몸에서 정말 중요한데요. 체내 여러 가지 성분의 밸런스를 잡아주고 몸의 건강을 유지시키는 일을 합니다.
[사구체여과율(GFR)은 수치]
신장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치인데요.
신장이 1분 동안에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을 사구체 여과율(GFR)이라고 합니다.
정상 사구체 여과율은 분당 90~120ml 정도 인데요. 신장기능이 정상인 사람은 1분 동안 90내지 120ml 정도의 혈액을 걸러서 깨끗하게 청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하루 종일 걸러준 혈액의 양을 환산하면 약 120~180 리터가 됩니다. 병원에서 "신장기능이 떨어졌다" 라고 흔히 말하는데 이는 신장의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되었다. 라는 의미로 해석하게 됩니다.
사구체여과율 수치에 따른 질병과 위험도
신장 손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만성 신부전이라 하는데요. '만성 콩팥병'이라고도 합니다.
만성 콩팥병은 사구체여과율을 기준으로 손상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뉘는데, 각 단계에 따라 증상도 다르고 치료 방법이 다릅니다.
[만성콩팥병 원인의 3대 질환]
만성 콩팥병의 3대 원인 질환은 당뇨병, 고혈압, 만성사구체신염 인데요.
[ 만성 콩팥병의 증상]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 콩팥병은 신장 기능이 50% 이상 손상될 때까지도 별 다른 이상 신호를 보내지 않는데요. 결국 심각한 상태가 되어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으로는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서 피곤함, 가려움증, 식욕부진 등의 요독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말기 신부전에 이르면 호흡곤란, 식욕부진 및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더욱 심해지면 투석이나 신장이식 등의 치료를 받지 않으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신장기능의 손상 인자 및 약물]
- 유발인자
또한, 정규적으로 신장 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모르는 사이에 이런 인자들에 의해 신장 기능이 손상되지 않았는지도 검토해야 합니다. 이런 인자들에는
1)탈수
2)고혈압
3)신독성 약제
4)소변 배설 통로 폐쇄(요로폐쇄)
5)감염
6)임신
- 주의약물
모든 약물(한약 포함)들은 신부전이 있는 신장에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흔히 사용되는 약물 중에서 주의할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항생제 (특히, 테트라싸이클린, 세팔로스포린, 리팜핀,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
2) 방사선 조영제 (컴퓨터 단층 촬영, 경정맥 요로 조영술 등의 방사선 검사에서 사용되며, 주사를 통해 혈관
으로 주입됩니다)
3) 비 스테로이드성 진통제 - 약국에서 흔히 처방없이 구할 수 있는 진통제들입니다. 예를 들어, 아스피린, 타이레놀, 낙센, 게보린 등 흔히 알려져 있는 진통을 없애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입니다. 정상 신기능을 가진 사람에서 진통제를 한번에 과량 (예,아스피린 하루 8알 이상) 복용하거나 수년간 정상 용량을 정기적으로 복용하면 신장 이상이 발생합니다.
신부전 환자에서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은 신장 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는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일,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복용하여야 하는 신부전 환자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를 해야하며, 신기능 감소 여부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검사하여야 합니다.
4) 그 외 금속제(수은, 납, 금, 구리, 카드뮴)와 기타 약물
[예방과 치료법]
최선책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만성 콩팥병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우선이 되어야 합니다.
원인 질환인 당뇨병과 고혈압의 철저한 관리와 만성 콩팥병의 진행을 막기 위해 혈압관리, 저단백 식이요법, 금연, 콜레스테롤 조절, 빈혈 관리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 안 올 때 누르면 바로 '숙면 모드' 들어가는 '지압점' (0) | 2019.01.25 |
---|---|
구운계란 만들기 (0) | 2019.01.24 |
눈가 떨림의 원인 (0) | 2018.12.03 |
신장의 기능저하(만성 신부전) (0) | 2018.11.29 |
신장에 좋은 음식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