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공부

한자부수2획 14번~덮을 멱

은오 2017. 3. 14. 10:20

(덮을 멱)

참고: 집면(宀) : 丶冖宀(주멱면)[심지불 주, 덮을 멱, 집 면] →宀(집 면)/ 심지불(丶)을 덮은(冖) 모양으로 집

을 나타냄


자를 중심으로 양쪽 끝이 꼬부라졌다. 식탁보를 연상하면 쉽게 떠오른다. 덮은 부분은 평평하고 남는 보자기

의 가장자리는 아래로 드리워지는 것은 당연지사.

 

그래서 이 글자를 부수로 쓰고 있는 대표적인 한자는 덮어 놓아 어두운 상태인 (어두울 몽)’(어두울 몽)’

, 머리에 갓을 덮어 놓은 모양인 (갓 관)’ 등이 있다.

(덮을 멱)마을

   

. (덮을 멱) : 천이나 보자기 등으로 어떤 물건을 덮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어, 덮을 멱() - (활용) 부수로만

쓰일 뿐 활용되지 않음.

 

. (갓 관) : 冖元寸冠(멱원촌관)[덮을 멱, 으뜸 원, 마디 촌, 갓 관] (갓 관, 관례 관)/ 은 머리, 은 법도, 즉 신분에 따라 정해진 법도[]에 의하여 머리[]에 쓰는[] 것을 나타내어, 갓 관()/ 갓은 옛날에 남자들이 쓰던 모자인데, 성년식인 관례에서 상투를 하고 처음으로 갓을 쓰게 되었으므로, 관례 관() - (활용) 金冠(금관)/ 月桂冠(월계관)/ 冠禮(관례)/ 冠婚喪祭(관혼상제)

 

 

. (덮을 멱) 마을 주민 한자들

 

((갓 관)/ (어두울 명)/ (갓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