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부수 3획37번 큰 대 大
마치 육체미 선수처럼 양팔다리를 활짝 펼치고 몸에 잔뜩 힘을 준 당당한 남자의 모습이다. 몸이 가장 기본적인 무기였을 그 옛날, 짐승이나 적과의 싸움에서 몸집의 크기는 상대를 제압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구(?)였다. 여자들이 지금도 배우자를 선택하는 첫 번째 조건으로 키가 큰 사람을 선호하는 것은 오래 전부터 DNA에 각인된, 강함이 바로 생존이라는 기억에서 기인한 것은 아닐까?
太는 ‘크다’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간혹 ‘콩’이라는 뜻도 있는데 이 뜻은 우리나라에서만 쓰인다. 서리가 내릴 10월경에 수확하는 ‘서리태’의 ‘太’가 바로 ‘콩’이란 뜻이다.
夭(일찍 죽을 요)자에도 大가 들어간다. 禾(벼 화)의 머리 부분 첫 획을 가로로 하나 그었다. 뜻 역시 익은 벼가 아래로 고개를 숙이듯 죽은 사람 역시 힘없이 아래로 고개를 떨어뜨리고 있다.
가. 大(큰 대) : 사람이 팔과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양을 본떠 큰 것을 뜻하니, 큰 대(大) - (활용) 大人(대인)/ 大陸(대륙)/ 大小(대소) 强大(강대)
나. 夷(큰활 이) : 大弓夷(대궁이)[큰 대, 활 궁, 큰활 이] → 夷(큰활 이, 활 잘 쏘는 사람 이)/ 크고 강한 활을 뜻하니, 큰활 이(夷)/ 大자는 사람이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여기에 활 궁(弓)자가 포개진 모양에서 늘 활을 들고 다니면서 활을 잘 다루는 사람을 뜻하니, 활 잘 쏘는 사람 이(夷) - (활용) 동이(東夷)/ 동이족(東夷族)
다. 大(큰 대) 마을 주민 한자들
大(큰 대)/ 奉(받들 봉)/ 夫(지아비 부)/ 失(잃을 실)/ 天(하늘 천)/ 太(클 태)/ 契(맺을( 계약 계)/ 奇(기특할( 기이할 기)/ 奈(어찌 내)/ 奔(달릴( 달아날 분)/ 奮(떨칠 분)/ 央(가운데 앙)/ 夷(오랑캐( 큰활 이)/ 奪(빼앗을 탈)/ 奚(어찌 해)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부수 3획39번 아들 자 (0) | 2017.03.24 |
---|---|
한자부수 3획38번 계집 녀 (0) | 2017.03.24 |
한자부수 3획36번 저녁 석 (0) | 2017.03.24 |
한자부수 3획35번 - 천천히 걸을 쇠 (0) | 2017.03.22 |
한자부수 3획34번- 뒤쳐져올 치 (0) | 2017.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