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부수 2획10번~어진사람 인 儿(어진 사람 인)마을 → (어진 사람 인/ 걷는 사람 인) 흔히들 이 글자를 ‘어진 사람 인’이라고 부른다. 이는 무릎을 꿇고 앉은 사람의 모습을 본떴다고 하여 그렇게 불리는 이름이지만 人(사람 인) 부수에 편입을 하여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부수이다. 元(으뜸 원), 光(빛 광), 兒(.. 한자공부 2017.03.10
한자부수 2획 9번~사람 인 人亻(사람 인)마을 人은 제목처럼 다리를 크게 벌리고 서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아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人의 왼쪽 획 丿은 사람의 팔, 오른쪽 乀은 사람의 몸통을 본뜬 글자이다. 사람이 반듯이 서서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는 大이다. 人은 다른 .. 한자공부 2017.03.10
한자부수 2획8번~ 머리 두 亠(머리 두) → (머리 두, 지붕 두) 亥(돼지 해)자의 몸통을 없고 머리만 있다고 하여 가진 이름 이다. 이 부수하나 만으로는 글자를 이루지 못하고 다른 글자 와 결합하여 온전한 글자를 이룬다. 양팔을 벌리고 다리를 서로 교차하고 서 있는 모양을 交(사귈 교), 팔을 잔뜩 벌리고 서 있.. 한자공부 2017.03.10
한자부수 2획 7번 ~ 둘 이 二(둘 이) 하늘과 땅의 만남. 二(두 이) 두 개의 가로획이 나란히 누워있다. 위는 하늘, 아래는 땅의 상징이다. 양(陽)은 一, 음(陰)은 二, 하늘과 땅의 조화로운 만남이다. 예전에 사용되던 숫자가운데 一, 二, 三, 외에도 넷 사(亖), 다섯 오(五) 등이 있다. 흔히 열 십(十)자만 가로획과 세.. 한자공부 2017.03.10
한자부수(1획 6번~갈고리 궐) 亅(갈고리 궐) 갈고리의 모양을 본뜬 것이니, 모양이 낚싯바늘과 비슷하니, 낚싯바늘 궐(亅) 위는 곧으면서 아래가 꼬부라져 뭔가를 걸도록 만든 갈고리가 마치 피터팬의 후크선장 팔을 닮았다. 위에서 아래로 꿰뚫고 있는 모양을 본뜬 丨(뚫을 곤)과 아주 흡사하지만 끝이 곧은.. 한자공부 2017.03.08
한자부수(1획 5번 ~새 을) 새 을 乙(한자부수 1획 5번 째) ( 乙 乚 乛) 1. 새 2. 둘째 천간(天干) 숨을 은 乚 (새의 앞가슴 모양과 흡사하여 ‘새의 가슴’이란 의미) 구결자 야 乛 (새의 부리와 머리와 목의 모양과 흡사하여 ‘새의 머리’란 의미 ) 1)새을 乙 부수 마을 주민들 九 아홉 구, 乾 마를 건, 마를.. 한자공부 2017.03.07
한자부수(1획 4번 ~ 삐침 별) 丿(삐칠 별) 乀(파임불,삐칠 불) 乁(흐를 이) ■ 丿(삐칠 별) : 선분을 그어 삐치는 것을 나타내니, 삐칠 별(丿), 물건을 잡아당겨 끄는 것을 나타내니, 끌 예(丿) (활용) 부수로만 쓰일 뿐 활용되지 않음. ■乀 (파임 불) : ① 파임=파토 ② 丿과 반대로, 왼.. 한자공부 2017.03.07
한자부수(1획 3번-점 주 ) 丶점 주 (1획 3번~점주) ■ 丶(점 주) : 옛날에 호롱의 심지 불 모양을 본 뜬 글자이니, 심지 불 주(丶)/ 심지 불에서 불똥이 튀기니, 불똥 주(丶)/ 심지 불을 그릴 때는 점을 찍어 나타내니, 점 주(丶), 찍을 주(丶) (활용) 부수로만 쓰일 뿐 활용되지 않음. ■ 丶.. 한자공부 2017.03.07
한자부수(1획 2번~뚫을 곤) 丨(뚫을 곤) ■ 丨(뚫을 곤) : 한 획을 수직으로 내리 그어 뚫는 것을 나타내니, 뚫을 곤(丨) 위에서 아래도 길게 내리 그어 마치 나무 꼬챙이의 모습을 연상한다. 이 부수에 해당하는 글자로는 어느 지역의 가운데에 깃대를 꽂은 모양을 본뜬 中(가운데 중), 나뭇가지가 양쪽.. 한자공부 2017.03.07
한자부수(1획 1번~한일) 一 한 일 단순하고도 명료한 숫자 一은 인도인들이 ‘0’을 발견하기 전까지만 해도 숫자 중 가장 적은 막대 숫자였다. 그러면서도 모든 것을 아우르는 의미인 ‘통일’, ‘전체’, ‘모두’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二는 一의 부수자가 아닌 단독으로 제부수의 역할을 하고 있다. .. 한자공부 2017.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