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부수 2획20번~감쌀 포 勹 (감쌀포) 勹는 금문에서는 마치 허리를 제대로 펴지 못하는 디스크 환자를 닮았다. 이는 人자의 오른쪽 획을 아래로 꺾인 형태로 가슴에 뭔가를 감싸고 있는 상황을 표현한 글자이다. 대표적인 글자로, 뱃속에 아이를 감싸고 임신한 모양을 본뜬 包(쌀 포)가 있다. ‘감싸다’는 .. 한자공부 2017.03.14
한자부수 2획20번~힘 력 力 (힘 력) ‘불끈’ 이두박근이 돋보이게 ‘으~~리’를 외치며 팔뚝을 구부린 모양을 본떴다는 엉터리 설명이 난무하는 글자다. 하지만 갑골문에서는 팔뚝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쟁기의 모양을 본떴다. 그래서 男은, 밭[田]에서 쟁기질하며 힘쓰는[力] 사람이 바로 ‘남자’라는 의미를 .. 한자공부 2017.03.14
한자부수 2획 19번~칼 도 칼 도(刀) 2단 변신괴물 ‘刀’는 어떤 글자와 결합하느냐에 따라 글자의 모양이 변하는 변신괴물이다. 이 괴물의 변신은 기본적으로 결합되는 글자의 오른쪽에 결합하면 ‘刂’의 형태로, 아래쪽에 결합하면 ‘刀’의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創’, ‘刊’ 등과 ‘分’, ‘㔃’ .. 한자공부 2017.03.14
한자부수 2획17번~입벌릴,구덩이 감 凵 (입벌릴 감,구덩이 감) 이빨 상실. 입 벌릴 감(凵) 참고 : 匚(상자 방) : 물건을 담는 광주리나 상자의 모양을 본떠 상자, 匸(감출 혜) : 一乚匸(일은혜)[한 일, 숨을 은, 감출 혜] → 匸(감출 혜)/ 숨은[乚] 것을 덮개[一 ]로 덮어 감추니, 감출 혜(匸 ) 입 구(口.. 한자공부 2017.03.14
한자부수 2획16번~안석방석,책상 궤 几(안석 궤) OTL, 머리는 어디 갔나? 안석 궤(几) 안석(案席)의 案은 ‘방석(方席)’이란 뜻이다. 안석은 앉을 때 몸을 기대어 편히 쉬도록 만든 도구로 冂(멀 경)과 맨 마지막이 바깥으로 꼬리가 굽은 것만 다를 뿐 매우 흡사하다. 이 글자가 부수로 쓰이는 글자로 凴(기댈 빙).. 한자공부 2017.03.14
한자부수 2획15번~얼음 빙 얼음 빙(冫) 엉겨 붙은 물 수(氵). 얼음 빙(冫) 흔히 ‘氵’는 세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글자라고 하여 ‘삼수’, ‘冫’은 두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글자라고 하여 ‘이수’라고 부르는 글자이다. 물인 ‘氵’가 엉겨 붙어 지금의 형태인 ‘冫’의 자형을 갖추었.. 한자공부 2017.03.14
한자부수2획 14번~덮을 멱 冖(덮을 멱) 참고: 집면(宀) : 丶冖宀(주멱면)[심지불 주, 덮을 멱, 집 면] →宀(집 면)/ 심지불(丶)을 덮은(冖) 모양으로 집 을 나타냄 ‘一’자를 중심으로 양쪽 끝이 꼬부라졌다. 식탁보를 연상하면 쉽게 떠오른다. 덮은 부분은 평평하고 남는 보자기 의 가장자.. 한자공부 2017.03.14
한자부수 2획 13번~멀(먼데)(빈공간) 경 멀 경(冂)-빌(빈공간) 경 골대는 너무 멀어. 멀 경(冂)길게 뻗은 길의 모양인 丨亅과 지평선의 모습인 一이 합쳐졌다. 지평선 너머 멀리 길 떠나는 사람을 전송하며 하염없이 손을 흔들며 “굿바이~”를 외치던 영화 속 한 장면을 떠올리면 쉽게 연상되는 글자다. 冂의 부.. 한자공부 2017.03.10
한자부수 2획 12번~여덟 팔 八(여덟 팔)마을 → (여덟 팔, 나눌 팔) 부수로 부수는 한자 - 人과 入의 또 다른 쌍둥이. 여덟 팔(八) 서로 등지고 있는 모습을 본떴다. 서로 등지고 있는 사람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북쪽 북(北 )이 있는데, 이 글자는 처음에는 ‘등지다’는 의미를 가진 글자였으나 지금은 북쪽의 의미로 .. 한자공부 2017.03.10
한자부수 2획 11번~들 입 入(들 입)마을 → (들 입, 들어갈 입) 인간[人]아! 머리 숙여! 入(들어갈 입) 생긴 모양이 人의 꼭지가 왼쪽으로 살짝 굽은 모양과 흡사하다. 원래는 화살촉처럼 생긴 뾰족하고 날카로운 무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였는데 지금은 그 끝이 꼬부라졌다. 만약 원래의 글자의 모양을 유지한다면 人.. 한자공부 2017.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