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용도변경

은오 2018. 9. 5. 14:56

오늘은 땅의 가치, 지가가 상승하는 요인 마지막 3탄!


토지 용도 변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축물의 용도 변경은 기존의 사무실 빌딩을 상가건물의 건축 요건에 맞춰 개조하여


상가빌딩이나 유통센터로 개조 후 용적률을 높이고 많은 보증금과 임대수익을 올릴 수 있는데요,


토지의 경우 이에 해당하는 것이 용도 지역 변경입니다.







여기서 용도 지역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페율, 용적률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 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 관리 계획으로 결정 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용도 지역은 크게 도시 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총 4개의 용도 지역으로 나뉘며,


용도지역별로 할 수 있는 건축 행위가 다르고 건폐율과 용적률 또한 용도지역별로 다릅니다.









용도 지역 변경은 지목변경이나 형질변경과는 달리 


시,군의 도시 관리계획에 의해 결정되므로 개인이 변경할 수 없는데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계획을 수립하면서 변경의 필요성이 있을때


변경 절차를 밟게 됩니다.








따라서 용도 변경 보다는 용도 지역이 변경될 만한 곳을 예측하고 선점하는 것이 현실적인데요, 


를 들어 신도시 예정지라든지 택지개발예정지구, 산업단지 후보지, 경제 자유 구역등이


이에 해당 합니다. 이들 지역은 개발과 함께 모두 도시 지역으로 용도 변경이 됩니다.


또 빠르게 성장하는 대도시 인근의 그린벨트 지역이나 관리지역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지요.




이러한 지역은 대부분 도시지역이 아니었던 곳들이


도시지역으로 용도가 변경되면서 건폐율, 용적률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땅의 가치가 어마하게 상승되며,


또 도시지역내에서 주거지역 세분화가 일어날때에도 용도 변경이 일어납니다.


즉, 전용주거지역이 일반주거 지역으로 바뀐다거나


일반주거지역 내에서도 1,2,3종으로 바뀔때 용도 변경이 일어납니다.





현재 시흥시의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시흥시의 70%가 그린벨트 지역이고, 은계,목감,장현 택지지구, 매화산업단지 조성 등


땅의 가치가 상승하는 요인을 모두 갖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도지역이 변결될 만한 곳을 미리 선점 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도지역-도시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0) 2018.09.06
용도지역-농림지역(농업진흥지역 보전산지)  (0) 2018.09.06
지목변경  (0) 2018.09.05
형질변경  (0) 2018.09.05
맹지  (0) 2018.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