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버섯 [야생 영지버섯] 진시황제의 불로초 전설이 얽혀 있는 대표적인 약용 버섯. 중국 한서(漢書)에는 ‘궁중 에서 영지가 생기면 대사령을 내려 잔치를 베풀었으며 영지에 관한 시(詩)를 읊었 다’라고 기록돼 있다 혈액을 정화시켜 혈류를 돕고 당뇨병에 좋다. 또 혈중의 콜레스테롤 및 기타 노폐 물을 제.. 약초방 2007.07.22
복분자술 복분자 5kg 기준입니다.(시중에서 판매하는 과실주 담는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병이 18리터로 공급되는 관계로 5kg 기준으로 알려드립니다.) 1. 복분자5kg에 백설탕(정백당을 이용하여야 당도 계산에 맞아 숙성이 잘됩니다.) 500g을 잘 섞으면서 딸기를 으깨어 줍니다.(무게비 10:1비율) 2. 밀봉(공기가 통하게.. 약초방 2007.06.15
고향의 봄나물 엄마 손맛 봄나물 향기 씹는 봄 ▲ 쑥국 달래장 취나물 두릅 한상 엄마 손엔 마력이 붙었던 걸까. 마늘 몇 쪽 넣고 재료에 따라 주섬주섬 간장, 고추장, 된장 대충 풀고 주물럭주물럭 조물조물 애처롭고 투박한 손에 양념을 묻혀가며 둘둘 무치면 모든 나물이 반찬이 되어 뚝딱 상에 차려졌다. 과하여 풋.. 약초방 2007.02.27
오미자 *** 오미자( 五味子 ) *** 1. 오미자는 열매는 하나인데 맛은 다섯가지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사과산과 주석산이 많이 들어 있어 신맛이 강하다. 오미자는 폐기능을 보호해 주기 때문에 기침, 가래나 만성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선염 등에 좋고 신맛이 있어 입이 마르고 갈증이 심할 때도 좋다. 오미.. 약초방 2007.02.07
할미꽃 봄이면 고향을 생각캐하는 수수한 꽃이 하나 있으니 바로 할미꽃이다 어릴적 동네 친구들이랑 뒷동산에 올라 호미와 다래끼를 준비해서 양지바른 곳에 솟아 오른 할미꽃을 고사리 손으로 캐어 집에 가져와 심고 매일 열심히 물을 주었 건만 하루 이틀이 지나면 점점 시들어 결국 말라죽어 동심을 안.. 약초방 2007.02.05
칡 칡 Puseraria thunbergiana Bentham 갈근, 갈화 분포 : 산 / 개화 : 8∼9월 결실 : 9∼10월 / 채취 : 꽃, 뿌리, 순 특징 :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달다. 효능 : 해열, 지사, 진통, 강정작용 ▲ 열매 ▲ 갈화 : 차례로 벌어지는 꽃봉오리 생김새 칡은 나무이지만 겨울이면 가는 가지 끝은 말라 죽는다. 잎겨드랑이에서 나오.. 약초방 2007.02.02
버들강아지 봄이 되면 우리의 눈은 아찔하다.어디에 눈길을 두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한다. 올 봄에는 화려한 꽃 대신에 작고 앙증스런 꽃눈에 눈길을 줘보자. 4월 봄의 길라잡이 버들강아지를 따라 봄의 산책을 떠나보기로 하자. 겨우내 두터운 털옷으로 꽃을 감쌌다가 꽃샘추위가 염려스러운 삼월에 다른 꽃.. 약초방 2007.02.01
생강나무 [생 강 나 무] ▶ 해열, 기침, 피부병, 손발냉한데, 혈액순환촉진, 타박상, 산후풍에 효험있는 생강나무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는 녹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이다. 높이는 2~3미터 정도 자라고 개화기는 3~4월이며 결실기는 9월에 쥐눈이 콩알 만한 둥근 열매가 붉은색이었다가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여 열.. 약초방 2007.02.01
산딸기 산딸기 (복분자:覆盆子)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하고 눈을 밝게하며 성기능을 강화하는 약재> 나무딸기·산딸기나무·흰딸·참딸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약 2m이다.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고, 밑에서 싹이 돋아 커다란 군집으로 발달하며, 줄기 전체에 가시가 드문드문 난다... 약초방 2007.01.16
참취 꽃은 8∼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두화는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3줄로 배열하고 설상화(舌狀花)는 6∼8개이며 관상화(管狀花)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는다. 어린순을 취나물이라고 하며 식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억센 잎은 말려서 달임액으로 복용한다 * 만.. 약초방 200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