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약초 4 접골목 골다공증, 기미, 주근깨 없애는 접골목 우리 옛 속담에 ‘시집밥은 살이 찌고 친정밥은 뼈가 찐다’는 말이 있다. 이 속담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뼈가 약해진다는 요즘의 학설과 일치한다. 그렇다면 친정밥처럼 뼈를 찌개 하는 약초가 있을까? 있다면 그것이 어떤 약초일까? 그것은 바로 접골목.. 약초방 2008.07.21
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약초3 냉초 - 냉증과 숙변 없애는 냉초 냉증은 체온과는 상관없이 몸이 늘 차서 여러 가지 불편을 느끼는 증상이다. 주로 혈액순환이 좋지 않거나 빈혈이 있을 때, 아이를 낳고 나서 찬바람을 맞았을 때, 위장기능이 몹시 쇠약하거나 위장병이 있을 때, 대장염이 있을 때 잘 생긴다. 증상은 추위를 타며 배와 .. 약초방 2008.07.21
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약초 2 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약초 2 노박덩굴 - 지긋지긋한 생리통에는 노박덩굴 열매 노박덩굴 열매는 여성의 생리통과 냉증 치료에 특효약이라 할 만하다. 10월이나 11월에 잘 익은 노박덩굴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려 살짝 볶아 부드럽게 가루 내어 하루 세 번 식전 30분에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 약초방 2008.07.21
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약초 1 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약초 1 생강나무 - 모든 산후병의 명약 산후통은 여성이 아이를 낳은 뒤에 나타나는 병으로 흔히 산후풍이라고도 한다. 여성이 아이를 낳고 나서 찬바람이나 찬 기운을 맞았을 때 팔, 다리, 허리, 어깨, 신경선, 뼈마디가 쑤시고 저리고 시리고 아픈 증상을 이른다. 산후.. 약초방 2008.07.21
지치 지치는 그 뿌리에서 보라색 물감을 얻는 까닭에 우리 겨레와 퍽 친숙한 식물이다. 지치는 노랑색과 빨간색 물감을 얻는 홍화, 파란색 물감을 얻는 쪽과 함께 우리 선조들이 염료작물로 즐겨 가꾸어 왔다. 그러나 지치가 염료로서보다는 약으로서의 쓰임새가 훨씬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 약초방 2008.07.21
약초이름과 동영상 약초이름을 클릭 하시면 상세한 설명이 보입니다 가시오갈피 나무(Eleutherococus s… 감부리(甘富利=Symphytum officin… 개나리나무(Forsythia koreana N… 개똥쑥 (Artemisia annua) 개오동나무(Catalpa ovata G. Do… 갯방풍(Phelloterus Littorali… 곽향(Agstache rugosa O. KTZ… 관중(면마, Dryopteris crassir… 긴병꽃풀 ( Glechoma hederacea….. 약초방 2008.06.25
함초 대부분 칠면초를 퉁퉁마디(함초) 라고 알고 계십니다. 칠면초는 함초가 아니랍니다. 칠면초의 어린순(잎)은 식용 가능합니다 나문재(해송나물) 나문재 나물은 5월 단오가 지나면 줄기가 억세어지고 쓴맛이 나므로 나물로는 먹을 수가 없다. 나물로 먹으려면 단오 무렵에 채취하여 살짝 데쳐 말려서 묵.. 약초방 2008.06.05
앵두 앵두 앵두나무순 1 앵두 2 새콤한 맛의 성분은 사과산과 구연산 등의 유기산인데 1.5% 가량 들어 있다. 이러한 유기산은 체내에서 신진대사를 도와주며 피로회복의 효능도 가지고 있다. 앵두에는 정장효과가 있는 펙틴이라는 성분이 많아 젤리나 잼도 잘 만들어 진다. 앵두씨에는 특수한 배당체로서 아.. 약초방 2008.06.03
찔레꽃 요즘 장미가 향기가 없는 것이 흠이지만 찔레꽃향기는 말로 표현할수 없을 정도로 향기가 곱고 은은하다. 어릴적 새순이 올라오면 그것을 꺽어 껍질을 벗기고 먹었다 특별한 맛이 나는 건 아니지만 조금은 달콤하고 사각거리는 맛이 추억에 남아있다 또한 늦가을에 동양화처럼 생긴 열매의 가지를 꺽.. 약초방 2008.05.28
뱀딸기 뱀딸기는 밭둑이나 적당히 습진 곳에 가면 어디에나 흔히 있는 딸기이다 맛은 조금 달착찌근하다고 할까. [위암 자궁경부암 코암 인두암 후두암 등 각종 암에 효험] ♠ 후두암 예방 치료에는 잎과 줄기 말린 것 30g을 400ml의 물에 달여 하루에 나누어 먹는다. ♠ 하루 10 ∼ 20g (신선한 것은 30 ∼ 60g)을 달.. 약초방 2008.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