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부수 3획58번 - 돼지머리 계 한자부수 3획58번 돼지머리 계 잘려진 돼지 머리의 모양을 본떴다. 돼지 중에서도 머리와 몸통 다리까지 모두 갖춘 것은 豕(돼지 시), 화살 맞은 돼지는 彘(돼지 체), 두 마리 돼지는 豩(돼지 빈) 등이다. 彑[⺕]와 글자의 모양이 비슷한 또 다른 글자가 있는데, 이는 손의 모양[.. 한자공부 2017.03.31
한자부수 3획57번 - 활 궁 한자부수 3획57번 활 궁 화살과 활은 영원한 짝이다. 만약 활에 화살이 없다면 이는 팥 없는 찐빵이요, 끈 없는 팬티요, 목 없는 기린이다. 지금은 마치 己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활줄을 맨 활을 잔뜩 펼쳐 놓은 모양을 본떴다. 그래서 ‘베풀다, 크게 하다, 넓히다’는 뜻을 가진 .. 한자공부 2017.03.30
한자부수 3획56번 주살 익 한자부수 3획56번 주살 익 주살은 원래의 이름은 줄살로 줄을 매어 놓은 화살이란 뜻이다. 매어놓은 줄은 화살을 쏜 다음 다시 거두어들여 화살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고안이었다. 一은 화살에 묶어 놓은 긴 끈, 丶+㇂[ᚴ]은 화살의 모양을 본떴다. 지금의 자형으로는 처음 만들.. 한자공부 2017.03.30
한자부수 3획55번 - 두손으로 받을 공 한자부수 3획55번 두손으로 받을 공廾 손에 손잡고, 한쪽 손을 본뜬 글자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又(또 우)이다. 그리고 廾은 두 손을 맞잡은 모양을 본떴다. 艹(풀 초)와 매우 흡사하지만 艹는 芒, 草의 경우처럼 주로 글자의 윗부분에 위치하고 廾은 弊(헤질 폐), 㢣(들.. 한자공부 2017.03.30
한자부수 3획54번 - 길게걸을 인,연이어 걸을 인 한자부수 3획54번 길게걸을 인,연이어 걸을 인 辶(쉬엄쉬엄 갈 착: )과 다른 듯 비슷하다. 辶이 彳+止가 합쳐진 글자라면 길게 걸을 인(廴)은 彳(조금 걸을 척)에서 아래의 획이 마치 엿가락처럼 오른쪽으로 길게 늘어진 모양을 본떴다. 참고로 쉬엄쉬엄갈 착은 즉, 위와 같.. 한자공부 2017.03.30
한자부수 3획53번 - 집 엄 한자부수 3획53번 집 엄 宀(집 면)은 누구나 알 듯 지붕의 모양을 본떴다. 广자 역시 오른쪽 지붕의 끝이 생략되고 왼쪽 추녀가 길게 표현되었다. 두 글자 모두 지붕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기는 하지만 쓰임새가 조금 다르다. 요즘의 기준으로 말하자면 宀은 단독주택, 广은 벼.. 한자공부 2017.03.30
한자부수 3획52번 - 작을 요 한자부수 3획52번 작을 요 작은 실타래의 모양을 본떴다. 糸(실 멱)에서 아래쪽 小가 생략된 형태다. 또한 두 개의 두 개의 糸가 합쳐지면 絲(실 사)가 된다. 그런데 이 세 개의 글자가 조금씩 다른 점은 幺는 실의 끄트머리가 생략된 작은 실타래, 糸는 실의 끄트머리가 붙은 .. 한자공부 2017.03.29
한자부수 3획51번 - 방패 간 한자부수 3획51번 방패 간 다목적 무기 방패 간. 지금은 마치 T+一의 형태처럼 보이지만, 갑골문에서는 Y+一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공격과 수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최첨단 무기로, 윗부분의 Y자형의 갈라진 부분은 공격을, 아래 一자형은 방어를 담담했다. 인간에게는 호랑이처럼 강한 힘.. 한자공부 2017.03.29
한자부수 3획50번 - 수건 건 한자부수 3획50번 수건 건 기다란 막대기에 걸쳐진 천조각, 아래로 축축 늘어지게 걸린 천조각의 모양을 본떴다. 천은 기본적으로 개지 않으면 위에서 아래로 늘어뜨려 보관한다. 또한 나무는 옆으로 뉘어서 보관한다. 그래야 나무가 휘어지지 않아 목재로 쓰기에 편리하다. 이 때문에 세.. 한자공부 2017.03.29
한자부수 3획49번 - 몸 기 한자부수 3획49번 몸 기 지금의 모양만으로는 글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전혀 예상하기 어렵다. 갑골문에서는 구불구불한 끈이나 줄의 모양을 본떴는데 뒤에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을 본뜬 㔾(무릎 꿇을 절)과 그 모양새가 비슷하여 ‘몸’이라는 의미로 그 뜻이 인신되었다. 巳(.. 한자공부 2017.03.29